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이진탐색
- JWT
- ec2
- 프로그래머스
- terraform variable
- terraform
- 인텔리제이
- Timezon설정
- lsof
- linuxr계정설정
- Jenkins
- SELinux비활성화
- heapq
- PrivateSubnet
- session manager
- endpoint
- Jenkinspipeline
- terraform 기본개념
- haproxy
- Python
- Docker
- algorithm
- binarysearch
- terraform 설치
- java
- terraform main commands
- Mac
- Process monitoring
- terraform backend
- s3
- Today
- Total
MONG 기술블로그
CICD 환경 구성 - Jenkins Pipeline과 GitHub연동 본문
Jenkins 에서 Github Private Repository에 접근하기 위해 Github에서 Token 정보를 발급해야한다.
다음의 순서로 진행해보자.
- Github Token 발급
- WebHook 설정
- Jenkins에 GitHub 인증정보 등록
- Jenkins PipeLine 및 생성 Github dev branch push 이벤트 발생 시 Build 설정
Github Token 발급
Github -> Settings -> Developer Settings 를 클릭한다.
Personal access tokens -> Tokens -> Generate new token 을 선택하여 필요한 권한을 가진 토큰을 발급받는다.
해당 밑에 Jenkins에서 Github에 인증할때 사용하므로 토큰변호는 꼭 기억해놓자.
WebHook 설정
Repository를 생성하여 WebHook을 설정하자.
생성한 Repository에서 Settings -> Webhooks -> add webhook을 선택한다.
이때 Payload URL은 Jenkins 주소에 /github-webhook 를 추가하여 작성하며,
Content type은 application/json 으로 작성한다.
Jenkins에 GitHub 인증정보 등록
Manage Jenkins -> Credentials -> global 선택 ( 이미지 참고 )
이제 Credentail을 생성해보자.
첫번째로는 아래와같이 Secret text를 생성한다.
이때 Secret 값에는 Github에서 발급받은 Token을 기입한다.
이제 대상 Github Server를 등록해보자.
Manage Jenkins -> System 으로 이동하자.
스크롤을 내려 아래 Github server를 등록하는 부분에 다음과같이 입력한다.
Name은 식별가능한 이름을 넣어주면 되며, API URL은 절대 건들지 않는다.
그리고 Credential은 위에서 등록한 Secret text를 기입한다.
이때 Secret text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 Test Connection 실행 시 위와같이 rate limit이 확인된다.
Jenkins PipeLine 및 생성 Github main branch push 이벤트 발생 시 Build 설정
이제 실제로 Pipeline을 생성하여 Github의 main branch에 push 이벤트 발생 시 자동으로 젠킨스 빌드가 실행되도록 설정해보자.
파이프라인을 생성한다.
이때 Github project url에는 말그대로 Github repository의 URL을 기입한다.
추가로 Build Triggers에 Github hook trigger for GITScm polling 을 반드시 선택하자.
그리고 하위에 Pipeline에는 일단 Hello world 샘플을 선택하여 저장한다.
이제 pipeline script 작성을 위해 Pipeline syntax로 이동한다.
pipeline syntax를 이용하여 하기와같이 간단한 스크립트를 작성했다.
이제 main 브랜치에 push 이벤트가 발생했을때 빌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보자.
이제 main 브랜치에 push하면 젠킨스 pipeline이 자동으로 빌드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Jenk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CD 환경 구성 - Jenkins 설치하기 (0) | 2023.06.24 |
---|---|
React 기반 영화 앱 & Jenkins Pipeline 구축. (0) | 2022.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