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ec2
- lsof
- algorithm
- SELinux비활성화
- s3
- terraform backend
- 이진탐색
- JWT
- terraform variable
- haproxy
- Docker
- binarysearch
- heapq
- terraform 기본개념
- terraform 설치
- PrivateSubnet
- 인텔리제이
- endpoint
- Mac
- linuxr계정설정
- terraform main commands
- 프로그래머스
- Python
- java
- Timezon설정
- terraform
- Jenkins
- session manager
- Process monitoring
- Jenkinspipeline
Archives
- Today
- Total
MONG 기술블로그
SpingInitializer를 이용한 SpringBoot 프로젝트 세팅 본문

https://start.spring.io/ 로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여기에서 다음과 같이 선택하자.
Project : Gradle
Spring Boot : 3.0.2
Packaging : Jar
Java : 8 ( PC에 설정된 Java 버전을 선택 )

Dependencies 의 ADD DEPENDENCIES... 를 선택하여 위 화면과 같이 Spring WEB을 선택한 뒤에 GENERATE를 선택하자.

최종적으로 GENERATE 선택으로인해 다운로드된 디렉토리를 IntelliJ 의 Open Project를 통해 열면 세팅이 완료된다.
DemoApplication.java 를 실행하면 내장된 Tomcat 서버가 8080 포트 작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Programming >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WT 기반 인증 방식 (0) | 2023.03.14 |
|---|---|
| Spring DI / IoC (0) | 2023.02.27 |
| SpringBoot의 HTTP Method API 정리 (0) | 2023.02.2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