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프로그래머스
- lsof
- s3
- terraform backend
- 이진탐색
- Python
- binarysearch
- linuxr계정설정
- java
- terraform 설치
- terraform 기본개념
- Mac
- ec2
- terraform
- SELinux비활성화
- algorithm
- heapq
- Docker
- Process monitoring
- Jenkins
- JWT
- 인텔리제이
- terraform variable
- PrivateSubnet
- Timezon설정
- session manager
- haproxy
- endpoint
- terraform main commands
- Jenkinspipeline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lambda (1)
MONG 기술블로그
람다식 ( Lambda Function )
함수형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함수를 정의하고 이 함수를 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법을 말한다. 즉 데이터 처리부는 데이터만 가지고 있고, 처리 방법에 대한 인터페이스만 존재하기에 외부에서 제공된 함수에 의존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자바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위해 Java8부터 람다식(Lambda Function)을 지원한다. 람다식은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 처리부에 외부에서 제공되는 함수의 역할을 하며, 자바는 람다식을 익명 구현 객체로 변환하여 처리한다. 람다식을 코드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 @FunctionalInterface를 사용하여 람다식으로 사용될 binaryOperator 함수를 정의한다. @FunctionalInterface interface Calc..
Programming/Java
2023. 3. 24. 21:25